investment column

Valiant Innovations

베트남 임플란트 시장 분석

베트남 임플란트 시장분석

 

베트남 임플란트 시장

 

한국의 임플란트 제조업체들은 다양한 해외시장으로 진출하고자 합니다.

치과 의료진 또한 국내 개원의 포화로 인하여, 해외 시장으로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중국 일변도의 해외진출이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최근, 베트남 시장이 국내 기업 및 치과 의료진에게 주요 진출 타겟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치과 및 임플란트 수요는 1) 구매력, 2) 노년 인구수, 3) 시술 접근성의 변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 변수를 고려했을 때 베트남 임플란트 시장의 성장은 타국에 비해 독보적으로 크며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베트남 임플란트 시장 구매력

의료비를 크게 지출할 수 있는 베트남 고소득층들이 주 타겟으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임플란트 시술 비용은 부담입니다. 베트남 지역의 낮은 치과시술비용에도 700불 이상이 넘어갑니다.

중국의 사례를 참고했을 때 임플란트 접근 고소득층을 연 소득 수준 8000달러를 기준으로 설정한면, 고소득층 비중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베트남 근로자의 10% 내외가 2억동(8,800달러) 이상의 소득을 벌어들이고 있습니다.

베트남 1인당 GDP 성장률은 연평균 10% 내외로 성장하고 있으며, GDP 성장에 따른 고소득자 비중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중산층의 예비 수요도 확보되어 있습니다. 현재 베트남의 도시임금근로자의 소득은 중진국 수준인 4,000달러 수준까지 증가한 상황입니다. 

 

베트남 임플란트 시장

 

또한 치의병원 수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예산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베트남사회보장청(VSS)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베트남의 건강보험 가입자 수는 총 8797만 명으로 베트남 인구의 90.05%에 달하는 수준입니다. 추후 공공의료 부분에서 치과 및 임플란트의 수혜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임플란트 시술 접근성이 증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베트남 임플란트 시장

 

베트남 노년층 인구 

임플란트 시술의 대상자인 노인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베트남은 2015년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2022년 기준 인구에서 9.12%가 노년층입니다.  또한 평균 연령은 32.5세로 30세를 돌파하였습니다. 

앞으로 베트남전 이후 베이비붐 세대인 70년대 생의 노령화는 인플란트 시장에 큰 수요처가 될 것입니다.

베트남 임플란트 시장

                                                                   [2020년과 2040년 베트남 인구구조 구성]                                        출처 : Statista

 

베트남의 임플란트 시술 접근성

베트남의 치과 수는 부족한 상황이나 임플란트 대상 수요층에 비해 크게 부족한 상황은 아닙니다. 

 

수요 증가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공급자인 치과 의료기관 수의 증가가 필수적이나,  아직까지 베트남 치과의사는 타 국에 비해 수가 적습니다. 현재 WTO 기준 베트남 치과의사는 4만 명 수준으로 인구 1,000명당 0.4명 수준입니다. 태국의 1.6명, 중국의 0.9명에 비해 비율이 타 국가들에 비해 미약한 수준입니다.

다만 베트남 치과 의료 시장의 경우는  치과만의 면허제도 없이 각 진료마다 허가되는 면허 범위와 자격이 다르며,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할 수 있는 곳은 수술실 등이 마련된 고급 치과 병원만 가능하여 대부분이 도시지역에 몰려 있습니다.

임플란트 치료 대상인  8,000달러 이상 소득을 가진 부유층의 비중으로 본다면 치과의사의 수는 1,000명당 3.2명 수준으로 큰 차이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치과의사 수는 적지만, 임플란트 시술 수가 많은 중국의 사례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베트남 임플란트 시장

 

베트남의 임플란트 수입 현황

베트남의 의료기기 시장이 발달하지 않아 임플란트의 90% 이상을 수입제품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이중 임플란트 수입의 26%를 한국이 점유하고 있습니다.

가격과 품질을 고려하였을 때, 모든 부분에서 경쟁력이 우수한 한국 제품의 소비자 채택이 높을 것으로 전망되어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베트남 임플란트 시장

 

베트남 임플란트 시장

 

         –  발리언트 이노베이션스  서제덕-

error: 콘텐츠는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