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목차
Toggle1. 미용의료시장및 보툴리눔톡신 (보톡스) 의 개념
- 인간은 근육을 사용하고, 나이가 들면서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고 주름이 지게 됨.
모두가 노화와 처진 피부를 가리고 싶어하고, 자신을 젊게 아름답게 보이게 꾸미고
싶은 원초적 욕망을 가지고 있음.
사람들의 원초적 욕망에 대응하고자 등장한 것이 미용의료 산업임 - 미용의료 수술, 시술을 통해서 노화를 가리고 아름다운 모습을 구현할 수 있음.
세계 인구의 고령화 추세/다양한 수요층 확대/소득수준 향상으로 미용의료 산업의
구조적 성장을 이끌고 있음.
- 미용의료 시술은 성형수술 과 뷰티산업의 장점을 합친 분야임.
부작용과 긴 치료기간 높은 가격이 소비자들에게 부담. 외과수술의 단점을 해결한 것이
미용의료 시술임.
효과기간이 짧다는 단점이 있지만, 오히려 소비자들의 재 구매율도 높아지게 됨. - 시술의 성장세가 수술보다 우위에 있음. 시술 횟수는 2022년 기준 전세계에서
1880만회 시술되어, 5년간9% 성장. 수술이 29.1% 성장한 것에 비해 2배 가까운
성장세를 보여줌.
- 미용의료시술 시장 내 보툴리눔톡신이 핵심임.
전 세계 미용 시술 행위 중 보툴리눔톡신이 9%로 절반가량을 차지함.
히알루론산 필러가 22.9%를 차지하고 있으며, 왁싱, 박피술이 그 뒤를 잇고 있음
- 보툴리눔톡신은 독으로 근육을 마비시켜 인체의 치료 효과를 유도함.
보툴리눔톡신은 독성 단백질로 신경에 작용하는 독으로, 신경스냅스 중 콜린성시냅스의
신경원에 부착됨.
궁극적으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막아 근육을 이완시킴. - 보툴리눔톡신은 제조 공정 특성 상 생산 비용이 낮아, 기술력이 있다면 높은 이익을
기대할 수 있음.
특히 균 배양기를 통해 보툴리눔 균을 배양하여 제조 과정을 거침.
높은 회수율과 순도를 얻는다면 원가율이 획기적으로 낮아짐
- 현재 보툴리눔톡신은 의료와 미용 목적으로 사용됨.
1977년부터근육마비작용 효과를 이용하여 다한증, 근육경련, 편두통, 방광염 치료제로
FDA로부터 승인 후 치료목적으로 사용 중임. 미용 목적으로는 비교적 최근에 사용됨.
1989년 미간의 주름을 없애는 효과를 발견하게 됨.
2002년 엘러간의 기술 개발 및 FDA 승인 이후 의료시술 상업화에 성공함.
현재 눈썹, 이마, 코, 눈, 입, 뺨, 턱선 등 얼굴 전 분야에 걸쳐서 주름개선 효과를 위해
사용되고 있음.
- 보툴리눔톡신의 효과가 짧아 재구매율이 높음.
마비된 신경세포 옆으로 새로운 세포가 자라고, 마비된 세포도 3~4개월 지나면
다시 정상적으로 근육활동을 시작함. 즉 3~4개월 마다 시술을 받아야 주름 개선된
얼굴을 유지할 수 있음. 한번 시술을 받은 소비자들은 지속적인 시술이 필수적인 이유임. - 보툴리눔톡신을 자주 맞으면 항체가 생겨 내성이 생길 수 있음.
이와 같은 경우 저 유닛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음. 또한 A형이 아닌,형태가
다른 B형 제품을 사용하기도 함.
2. 글로벌 보툴리눔톡신 시장
- 보툴리눔톡신은 미용의료 시술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과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음.
2022년ISAPS에 소속된 국가의 톡신 미용시술 건수는 922만 건으로 집계됨.
이 수치는 5년 간2% 늘어난 수치. 글로벌 보툴리눔톡신 시장 규모는 2022년 40억 달러로
평가되고 있으며, 2026년에는 82억 달러로 성장이 전망됨. - 미국 유럽 중국 3개의 시장이 전 세계 톡신 시장의 주도하고 있음. [도표8]
주요시장의 시장 규모는 2021년 31억달러로, 전체 톡신 시장의 80%가량을 차지함.
2026년까지 57억 달러 규모로 성장이 전망됨.
업체들은 주요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보가 중요함. - 인도,튀르키예,태국을 포함한 신흥시장은 인구 수 대비 침투율이 낮은 상황에 있음.
신흥국들은 소득성장 추이 혹은 저가 제품 공급 가능성에 따라, 톡신 시술 침투율
증가를 기대할 수 있음. 장기적으로 시장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상황임. - 세계시장에서보툴리눔톡신은 치료 목적으로 55%정도 미용 목적으로 45%정도 사용됨.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해외 주요 업체들은 의료용 위주 판매구조를 가지며, 미용 비중은 낮은 편임.
국내 업체들은 반대로 미용 위주의 판매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의료용 적응증을 연구하고 있음
3. 국내 보툴리눔톡신 시장
- 국내 시장의 경우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음.특히 국내 미용의료환경이 탁월하여,
이에 따라 Q의 성장이 지속됨.
국내 미용 톡신 시장은 2017년 1,010억 2020년 1,635억원까지 성장이 집계됨 - 국내 톡신 판매 승인 업체는 12곳이 존재. 판매 중인 주요 기업은 휴젤, 메디톡스, 대웅제약, 엘러간, 이 있음.
동사의 추정점유율은 6~7%로 집계되어 2019년 3% 대비 크게 상승한 수치임
- 다만 과잉경쟁으로 인해 미래의 국내시장의 급격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움.
경쟁이 격화되며 시술가격이 2010년대 회당 10만원대에서 현재 3만원 선으로 하락함.
ASP가 타 국가에 비해 과도하게 낮은 것. - 12개를 제외한 나머지 국내 기업은 기준이 낮은 수출 허가만을 받아 간접수출에 집중하고 있음.
수출용 판매 허가기업은 16개 기업이 존재. 수출 허가만을 받은 기업들은 작은 기업들이 많아,
까다로운 품목허가 기준 및 기존 시장 진입자들로 인하여 차후국내 판매에는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음.
4. 중국 보툴리눔톡신 시장
- 중국 미용의료 시장 성장은 지속되고 있음. 중국의 소득 증가 및 미용의료 기술의 발전의 결과임
중국 의료미용시장은 연평균4% 성장하여 2017년 227억 위안에서 2025년 2,279억위안으로 9배가량 성장이 예상됨. - 의료미용시장침투율 절대값이 낮아 빠른 성장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음. [도표 16]
중국의 의료미용시장 침투율은 2014년4%에서 2022년 4.5%까지 늘어남.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의 22%, 일본의 11.3%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를 기록 중.
의료미용업계 관련 플랫폼의 등장 및 문화적 유사성을 고려하였을 때 비슷한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특히 보툴리눔톡신의 성장세를 주목 할 수 있음. 2017년 17만건에서 2012년 45만건으로 증가함.
2022년에는 63만건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중국에서의 판매는 [도표 18] 중국시장의 보툴리눔톡신ASP 는 800~4,000 위안(현 환율기준 14~ 73 만원) 수준임.
가장 저렴한 제품인 BTXA 도 평균가로 따지면, 한국시장 ASP에 비해5 배 수준임.
또한 한중 FTA의 영향으로 관세율이 적용 받지 않아, 온전히 수혜를 받을 수 있음. - 중국 시장은 고품질 고가격의 Botox 와 저품질 저가격의 BTXA 가 양분하고 있으며,
국내업체휴젤의레티보가 점유율 9%를 차지하고 있음. - 중국의보툴리눔톡신 제품 승인은 오랜시간이 걸리며, 난이도가 높음.
보툴리눔톡신은 3류 의료기기 범주에 속하며, 제품군 중에서도 가장 높은 심사기준을 적용하고 있음.
임상시험 과정은 평균적으로 4~5년,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의 판매허가까지는 평균 6년이 소요됨
- 또한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파트너사가 필수적임.
중국의 파트너사를 통해 당국 인증의 노하우가 발휘될 수 있으며,
넓은 중국 시장의 의료기관 영업망을 활용함으로써 침투의 난이도가 줄어들 수 있음.
제대로 된 파트너사가 없는 중국 시장 진출은 매우 어려움. - 메디톡스의 경우 블루미지 로부터 72억원 출자받고 JV를 설립하여 18년부터 중국진출 모색하였으나,
법적 갈등으로 계약 해지하였으며 1,188억원 규모 손해배상 진행중 및 중국 수입의약품 등록신청 철회결정을 한 바 있음.
현재 자회사 뉴메코를 통해 진출 시도하나, 임상과정부터 승인까지 6년 소요예상. - 대웅제약은 메디톡스와의 법적 이슈로 파트너사 발굴에 난항, 현지법인 설립을 통해 직진출 시도하나
노하우 부족으로 당국 승인이 지속적으로 지연 중에 있음
5. 미국, 유럽 보툴리눔톡신 시장
- 미국시장은 2012년~ 2019년 평균적으로 124만건의 시술 횟수를 기록하던 것이
2021년 252만건, 2022년에 394만건을 기록하여 최근 3년간 3배 이상의 성장세를 보여줌. - 미국 미용 톡신 시장은 연 11% 성장률로 2021년 말 기준 18억 달러에서 2026년 30억달러까지 확대가 기대됨.
이는 젊은 여성층의 잠재 수요 및 선진국 시장 대비 낮은 침투율에 있음.
시술 경험자가 인구 백만명당 7명으로,한국의 55.1명에 비해 65% 수준에 불과함.
- 미국 시장은 엘러간의 Botox 점유율이 가장 큰 상황임. Botox는 가장 먼저 상업화된보툴리눔톡신인 만큼
시장 선점 효과를 누리고 있으며,며 치료 및 미용 적응증의 범위가 타사 대비 가장 넓음.
이외에 Dysport(입센) /Xeomin(멀츠)/Jeveau(대웅제약) 등이 차지하고 있음. - 미국 시장의 ASP는 모든 시장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며,국내 시장과는 달리 ASP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임.
국내시장과 미국시장의 톡신 시술 ASP는 10배 정도 격차가 추정되고 있음.
- 유럽 시장은 타 주요 시장에 비해 낮은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으나,
규모 자체가 큰 만큼 진출 시 상당한 매출액 증가를 목표할 수 있음. [도표 15]
유럽 미용용 보툴리눔 시장은5억달러로 추산되며 연평균 12%의 성장세를 보이며,
2026년까지 9.5억달러를 기록할 전망임.
유럽 보툴리눔 시장의 비중은 현재 전 세계에서 20%정도로 추산되고 있음. - 소득이 높은 유럽 주요국들의 위주 시장 진출이 필요하며, 각 국의 규모가 상당함.
유럽 시장 중 영국/독일/이탈리아/프랑스/스페인의 top 5 국가가 전체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음. [도표 14]
독일의 경우 2022년 293,736회의 시술이 이탈리아의 경우 161,254번의 시술이 이루어짐.
2017년 대비 33%, 19%가 성장하였음. - 유럽시장에는 주요 톡신 제품인 Botox, Dysport, Xeomin, Alluzience이 기존에 진출한 상황임.
국내 제품은 휴젤의레티보, 대웅제약의 주보가 인가를 받고 진출한 상황임